북극여우
북극여우(학명: Vulpes lagopus, 동의어 Alopex lagopus) 또는 흰여우(영어: White fox)는 북극지방 툰드라(tundra) 지역에 서식하는, 여우의 한 종류입니다.
외모가 사막여우와 완전히 대비되는 형태라서 자주 비교되고는 합니다.
북극곰이 'Polar bear'이듯이 북극여우는 'Polar fox'로 불리기도 하지만 보통은 Arctic fox로 더 자주 불립니다.
북극여우의 앞발은 북극 토끼의 발처럼 빽빽한 털이 자라서 학명은 "토끼발 여우"를 의미합니다.
북극의 툰드라 지방, 시베리아, 알래스카, 캐나다, 아이슬란드 등에서 폭넓게 거주합니다.
최대한 열 손실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귀가 작고 둥글둥글, 털도 풍성하여 실제로는 몸길이 40~70cm, 꼬리길이 30cm, 어깨 높이 25~35cm, 몸무게 2~10kg 남짓하지만 더 커 보입니다.
털가죽은 포유류 중 가장 뛰어나 영하 70도까지 내려가야 추위를 느낄 만큼 보온성이 엄청나다고 합니다.
계절에 따라 갈아입는 북극여우
북극여우는 계절에 따라 털갈이로 털 색을 바꾸는 유일한 개과 동물로 여름에는 머리, 등, 꼬리와 다리는 갈색, 옆구리와 배는 밝은 베이지색 털로 털갈이를 합니다.
이 변화는 7~8월에 가장 두드러지며 겨울 털에 비해 비교적으로 짧은 여름털은 툰드라에서 완벽한 보호색을 제공합니다.
여름털은 모든 북극여우들이 동일하지만 겨울 털은 하얀 털을 가진 개체와 푸른색을 가진 개체로 나뉘며 각각의 차이에 따라 "하얀 여우"와 "푸른 여우"라 불립니다.
하얀 여우는 겨우내 순수한 하얀 털을 지니는 반면 푸른 여우는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푸른색, 심지어 검은색까지 어두운 색의 털을 지니고 있습니다.
털색은 유전되며, 지역적으로도 차이가 납니다.
적과의 동행
겨울철에는 직접 사냥하기 어렵기 때문에 북극곰을 졸졸 따라다니며 북극곰이 먹고 남은 것을 처리합니다.
미친 행동 아닐까 싶지만 북극곰도 정말 먹을 게 아무 데도 없어 배고파 미쳐 날뛰기 전에는 북극여우를 사냥하려 들지 않습니다.
이유는 북극여우가 기본적으로 날쌔어서 잡기도 힘든 데다가 고생해가며 잡아 봤자 열량도 별로 없는 가성비 최악의 먹이이기 때문 의외로 북극곰은 배고프지만 않다면 그렇게까지 공격적인 성격은 아니라 작은 동물과 같이 장난치며 노는 습성도 있어 생각보다 사이가 나쁘지 않습니다.
북극여우는 혹여나 먹이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고기를 땅에 묻는 전형적인 개과 동물들의 습성을 보입니다.
정말로 먹을 게 없는 경우에는 북극곰의 대변을 먹기도 한다고 합니다.
북극여우의 천적 그리고 질병
일반적으로 북극여우는 대략 4년의 기대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을 제외한다면 천적은 적습니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 고가치의 북극여우 겨울 모피의 거래가 성행하였습니다.
북극여우의 모피는 이누이트와 유럽인의 주요 거래품목이었습니다.
북아메리카와 시베리아, 그린란드에서는, 북극여우가 드물어진 스칸디나비아나 아이슬란드와 비교해 그 개체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과거와 마찬가지로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와 누나부트 준주에서 북극여우는 여전히 모피 공급원으로 여겨집니다.
사냥철은 11월 초에서 4월 초까지입니다. 하지만 IUCN는 이러한 환경파괴적인 행위를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인간 외에는 북극 늑대가 북극여우들에게는 특히 위험하며 북극곰 또한 위험할 수 있습니다.
위협 앞에서 북극여우는 대개 줄행랑을 치지만 격렬하게 저항할 때도 있습니다.
북극여우를 가장 자주 죽음으로 몰아넣는 질병은 광견병입니다.
뇌염과 개 홍역 또한 연중 발생빈도가 높아 치명적이다. 이밖에도 대부분의 북극여우들은 외`내부 기생충에 감염되어있다. 북극여우들은 여우 촌충의 숙주이며, 드물지 않게 진드기(옴)에 감염됩니다.
개과에 속하는 동물이라 그런지 개와 유사한 점이 많습니다.
오늘은 북극여우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을 뱉는 몽실한 털 알파카 (0) | 2022.10.13 |
---|---|
너무나도 가벼운 쥐 멧밭쥐 (1) | 2022.10.07 |
바다에 사는 수달 해달 (1) | 2022.09.24 |
귀여운 천연기념물 수달! (2) | 2022.09.20 |
천연기념물 제 202호 두루미 (1)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