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폭행범
식육목 레서판다과에 속하는 포유류
레서판다(영어: lesser panda, 학명: Ailurus fulgens)는 몸길이 45 ~65 cm 꼬리길이 30 ~50 cm 가량의 포유동물입니다.
'레서판다'라고도 불리며, 영어 표기명은 레드판다(red panda).
미얀마, 부탄, 네팔, 인도에 걸쳐 서식하고 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속명은 고양이라는 뜻입니다.
"아기 판다"라고도 불리며, 영어로는 주로 '레드 판다(Red panda)'로, 간혹 '작은 판다'라는 뜻에서 '레서 판다(Lesser panda)'라고도 칭합니다.
중국에서도 작은 판다라는 뜻의 小熊猫라고 부릅니다.
네팔에선 'Nigalya ponya', 즉 '대나무를 먹는 것'이라는 뜻이라고 하는데 이것이 어원이라고 추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구리? 판다?
원래 '판다'란 말 자체가 이 레서판다에게 붙여진 이름이었으나 자이언트 판다가 더 유명해지면서 자이언트 판다를 '판다'라 하면서 원조 판다는 '레서판다'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판다'라는 이름은 네팔 사람들의 말에서 온 것으로 그 유래는 분명하지 않지만 '대나무 잎을 먹는 녀석'이라는 뜻의 'ponya'에서 왔을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한때는 자이언트 판다와 함께 판다 계열의 동물로 여겨졌지만 유전적으로는 거의 무관함이 밝혀졌고 라쿤, 족제비, 스컹크와 같은 포유류와 가까운 종입니다.
과거에는 아메리카너구리과로 분류되었으나 연구결과 독립적인 레서판다 과로 분류되며 곰과 동물보다는 오히려 족제비나 스컹크에 더 가깝습니다.
습성, 식성, 수명
히말라야 고지 등지에서 사는 동물인지라 추운 날씨에는 강하지만 한국처럼 여름이 덥고 습한 지역에선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그래서 동물원에서 보면 거의 잠을 자고 있어 보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본디 야행성이라 낮에는 높은 나무 위나 그늘진 곳에서 잠을 청합니다.
동물원에서 사육되는 경우도 밤에 비교적 활동량이 많아 늦은 오후에 동물원에 방문하면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곤충, 새의 알, 대나무, 죽순, 나무 열매 등 이것저것 가리지 않고 잘 먹습니다.
수컷은 항문 근처에 취샘이 있어서 이것을 통하여 영역표시를 합니다.
새끼는 한 번에 1마리에서 4마리 정도를 출산합니다.
자연 상태에서 오래 살면 8년에서 10년 정도까지는 살 수 있는데 동물원에서 잘 사육하여 25년까지 산 사례도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경계의 자세
가끔 두 다리로 서서 고개를 드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모습은 시야를 넓게 해서 주변을 경계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족보행을 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지만 실은 설 수만 있고 많아야 두세 발짝 정도 아장거릴 뿐 보행을 할 수는 없습니다.
이 경계하는 모습이 굉장히 귀여워 꽤나 인기를 끌었습니다.
인기를 끌면서 애완동물로 키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는데 레서판다는 애완동물로 키우기엔 어려운 동물입니다.
레서판다는 소리에 상당히 민감한 동물입니다.
예민하고 까다로워 사육사가 빗자루질만 해도 놀라서 얼씬도 하지 않는 동물.
서구권 동물원에서 레서판다는 사람을 심하게 경계하지는 않고 공격성도 약하긴 하나 사람을 잘 따르는 동물은 아니라고 평가하며 기본적으로 야생성이 있기에 애완동물로 키울 만한 동물은 아니라고 합니다.
멸종 위기
멸종 위기의 원인 중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가 있지만 원인 중에서 가장 위협적인 것은 애완용 목적의 밀렵입니다.
원체 귀엽다 보니 사람들이 좋아하고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싶어 해서 멸종위기에 몰려있습니다.
가죽 목적으로도 많이 잡긴 하지만 건강하게 생포해서 애완용으로 파는 게 더 이득이라고 합니다.
레서판다에게는 근연종이 없어서 만약 멸종 가까이 가면 복구는 절망적일 것입니다.
연간 10000여 마리의 레서 판다가 죽습니다. 또한 수명이 평균 8년 정도 되는데 새끼를 낳고 기르는 것을 싫어해서 새끼를 낳지 않고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레서판다가 꼭 귀여움 때문은 아니지만 멸종 위기 종 중 하나로서 보호, 보존이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레서판다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연기념물 제 202호 두루미 (1) | 2022.09.17 |
---|---|
존재 자체가 사기인 줄 알았던 동물 오리너구리 (2) | 2022.09.13 |
우영우의 고래 혹 to the 등 to the 고래! 혹등고래 (0) | 2022.09.10 |
바다 위를 날아다니는 어류 날치 (0) | 2022.09.08 |
반전 매력 히말라야의 유령 눈표범 (0) | 2022.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