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위새와 키위의 진실?
본문 바로가기
Life

키위새와 키위의 진실?

by 안중보안관 2022. 8. 11.
반응형

키위새와 키위

키위는 키위새의 부리, 다리, 머리, 털 등을 제거하고 몸통만을 후숙 하여 만들어집니다.
저도 키위를 참 좋아하는데요~?

키위 가공 과정

사실은 키위새와 키위의 생김새가 비슷하여 희화화된 것!
키위새는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토종 조류이면서 국조이자 나라의 상징입니다.

뉴질랜드 국기

야행성이며 날개가 퇴화하여 굉장히 작은 크기의 날개를 갖고 있어 나는 능력을 잃은 대신 다리가 발달이 되어 달리기
능력이 뛰어나고 긴 부리 끝에 콧구멍이 있어 후각으로 먹이인 곤충류나 지렁이를 찾아먹습니다.

달리는 키위새

본래 키위새는 천적이 없던 기간이 길었던 탓에 천적에 대비하는 습성이 전무하여 이주민에 의해 유입된 외래종에 의해
멸종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천적뿐 아니라 번식률이 낮은 것 또한 문제, 20세기 초 뉴질랜드 전역에는 100만 마리가 넘는 야생 키위새가 있었지만
2018년 기준 약 6만 8천 마리로 파악됐고 매년 2%씩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키위새

과거 천적이 없던 때에도 개체 수가 잘 늘어나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는 키위의 신체구조 때문입니다.
정확히는 암컷이 품는 알 때문인데, 키위는 1년에 알을 딱 한 개 낳는데 알의 크기가 성체 암컷의 1/4, 심하면 1/3 크기라서 알을 낳다가 죽는 암컷이 많습니다.
알이 복강에 가득 들어차기 때문에 산란 전 며칠간은 제대로 먹지도 못 한답니다.
보통 키위의 몸길이가 48 - 84 cm, 몸무게가 1.35 - 4 kg 정도인데 키위 알의 무게가 420 g 남짓으로 몸집이 비슷한 다른 새가 낳는 알의 무게가 70 g 정도니 무려 6배나 무거운 편으로 키위새 새끼는 알에서 갓 나왔을 때도 크기가 상당히 큽니다.
사람으로 비유하자면 15kg 정도의 태아를 임신하고 출산하는 격입니다.

알을 몸에 품은 키위새 골격 모형

호기심이 많은 편이라서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고 오히려 사람을 따라다니는 경우까지 있어서 뉴질랜드 원주민인 마오리족에게 사랑받는 새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키위새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반응형

댓글